본문 바로가기
지지배배옛옷(구 -지지배배한복)/한복이야기

한복도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하며... 한복에 대한 정의

by 지지배배 2008. 12. 22.
반응형

나름 한복의 전문가로써 블로그를 개설해서 한복에 대한 정의를 빠뜨릴 수는 없는 것 같다. 여기 저기 많은 정보들이 있고 검색을 하면 많이 나오는 내용일수도 있지만 그래도 필자 나름대로 한복에 대한 정의와 유래, 역사 등에 대한 포스트가 가장 먼저 올라와 있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는가!

먼저 한국의 전통의상을 한복이라고 부른다.

한복의 역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로부터 시작되었다.

처음 한복의 흔적을 발견한 것은 고구려 시대의 왕과 귀족들의 무덤 속 벽화에서였다.
고구려는 중국 당나라시대의 의상과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그 후 한국의 왕과 몽골족 공주와의 혼사로 중국 용안시대의 옷이 한국에 들어왔고,
그것이 한복의 시초가 된 것으로 보인다.


한복의 상의는 저고리라 부르며, 하의로 바지를 입는데 여성도 애초에는 바지를 입었던 것으로 생각이 되나 나중에는 치마를 입어 남성복과 달라졌다. 여성의 옷은 상의가 짧고 하의는 길어 단정하고 아담하다.


<한복의 구조>

한국인은 백의민족으로 불릴만큼 흰색을 선호했지만 평민의 의복이었을 뿐 관원들의 의복은 주로 색복이었다. 그래도 한민족의 정서는 흰색으로 통한다. 한복은 예복과 평상복의 구분이 있으며, 이에 여러 종류의 속옷이 따른다.
또한 남녀별, 계절별, 성인용과 어린이용으로 나뉘며 예전에는 신분에 따라 옷의 모양이나 색깔이 달랐다.


그 오랫동안 한복은 시대에 따라 저고리 길이, 소매통 넓이, 치마폭이 약간씩 달라질 뿐,
큰변화는 없었다. 즉 한복은 둥글고, 조용하고, 한국의 얼을 담고 있다.
실크나 면, 모시를 주로 만들어졌으며, 고름의 색상이나 소매통 색상이 여자의 신분을 나타낸다.

또한 나이와 사회적 지위, 계절에 따라 색상에 변화를 줄뿐 옷의 모양은 안동의 시골 아낙이나 대통령부인이나 모두 똑같다.

그러나 요즘은 원하는대로 자유롭게 입는다.
직선과 약간의 곡선의 기본을 이루고 있는 한복은 선이 매우 아름다운게 특징이며
옷입는 분위기는 동양적인 생활 윤리가 깃든 초연한 멋이 저절로 풍긴다.
최근 국내에는 한복의 장점에 실용성을 가미한 개량 한복이 자리잡아가고 있다.

한복에 대한 연구와 전시회도 있다. 1992년 뉴욕 I.B.N 화랑에서 한복에 대한 전시회가 한국의 국보적인 인물 석주선 박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석주선 박사는 1946년부터 일생을 바쳐 한복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1996년 타계하였지만 1976년에 세워진 그녀의 기념박물관에는 오늘날 7,000여점이 넘는 한복 콜렉션이 전시되어 있다.

한복은 언젠가부터 결혼할 때 한번 입는 예식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한복도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개량한복이 많이 나오며 실생활에도 편하게 입을 수 있도록 개선이 되고 있다. 아직 명절을 제외하고 한복을 입고 돌아다니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언젠가 한복도 점점 발전하고 실용성이 가미되면서 패션 아이템의 하나로써 코디하여 입을 수 있는 그날이 오길 기대해본다.



반응형

댓글